구례군 용방면의 문화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익명 댓글 1건 조회 1,265회본문
저가 방학이라서 방학숙제를 할려구 하는데요..
구례군 용방면에 살아서 그런지
구례군 용방면의 문화재에 대해 조사해서
보고서를 써오라고해서요.
-----------------------------------------------------------------------------------------
 
그래서 구례 용방면의 문화재 유적지에 대해좀 가르쳐 주세요..
좀 많이 가르쳐 주세요
사진도 있으묜 좋구요
내공 냠냠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의 문화재)
1.상모재
종 목 구례군 향토문화유산 제26호
지 정 일 2009. 05. 25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봉덕길 6 (용강리 535)
시 대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민선 도평의원을 역임한 우상 리근호공이 정각으로 사용하기 위해 1912년에 신축한 97년된 건물이며, 1971년에 리득전 공사종중에서 매입하여 상모재로 명명하였다.
2. 구례 영모재
종 목 구례군 향토문화유산 제27호
지 정 일 2009. 05. 25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두동길 55 (용강리 692)
시 대 조선시대
세종대왕 넷째왕자 임영대군 증손자 명선대부 운양도정공 리원과 아들 리몽서, 리몽경 손자 리정직, 리정익, 7대손 리동운, 리 성 등 1587년 용강리 665번지 생가터에 자리잡은 이후 18대를 실손으로 이어온 리원과 그 후손을 추모하기 위해 1878년에 건립한 제각이다.
3.이동춘공 혜척 기념비외 1기
종 목 구례군 향토문화유산 제28호
지 정 일 2010. 06. 22
소 재 지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용방로 464 (용정리 199-2)
시 대 일제강점기
리동춘(1910~1938)은 본관이 전주이며, 세종대왕 넷째 왕자이신 임영대군 정간공의 후손이고, 금재 리근호의 장남이다. 서, 화를 좋아하여 성당 김돈희의 문하에서 사사하여 청동이라는 호를 받았으며, 사업을 해서 재산을 많이 모았다.
용방면에 소학교가 없어 유지들과 학교건립을 결의하여 기성회장을 맡아 추진하던 중 신병으로 운명하면서 부인에게 유언을하여 부인 오씨가 학교설립기금 5천원(답 50여두락)을 기부하여 1940년에 준공하게 되어 공립용방초등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19.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