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수능 사회문화 질문 > 쇼핑 Q&A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쇼핑 Q&A

2019수능 사회문화 질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익명 댓글 1건 조회 931회

본문

2019 수능 사회문화를 푸는데 이해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정보 전달의 시공간적 제약이 가장 큰게 왜 종이신문인가요?

신문보다 tv가 더 제약이 크지 않나요? 왜냐면 티비는 티비있는 집에서만 볼 수 있고, 정해진 시간대에만 원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있잖아요. 신문은 적어도 들고 다니면서 원하는 정보를 읽을 수 있지만, 티비는 그게 안되니까 티비가 더 제약이 큰게 아닌가요?

2. 실험법이 양적 자료를 수집하기에 용이한가요?

실험법은 질적 자료를 수집하기에 용이한게 아닌가요? 질문지법은 양적자료라는걸 알겠는데 실험법은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

내공 100드립니다

성의있는 답변 부탁드려요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1.문제에서 말하는 정보전달의 시공간적 제약은 정보가 전달될때 시간적 공간적 한계가 어디까지 인가 입니다. 즉 신문보다 tv가 시공간적 제약이 작은이유는

 먼저 시간적 제약-tv는 질문자님께서 말하신것처럼 정해진 시간에 나옵니다. 허나 신문은 tv처럼 틀면 정보가 바로 나오지 않습니다.왜냐하면 신문이 만들어지는 과정 그리고 유통하는 과정에서 걸리는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본사에서 나온 신문이 부산까지순차적으로 유통된다 가정했을때 서울에서 구독한 사람과 부산에서 구독한 사람이 신문을 받는 시간은 다를것 입니다. 그러나 tv는 틀기만 하면 서울 부산 관계없이 동시간에 나와서 시간적 제약이 작습니다.

공간적 제약-tv는 예를 들어 한국에서 나오는 프로들이 외국에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신문은 그러기 힘들기 때문에 공간적 제약 또한 신문이 tv보다 더 많습니다.



2.양적 연구와 질적연구를 쉽게 비교하는 방법은 연구 과정에서 실험자의 가치가 들어갔나 안들어 갔나 입니다.  예를 들어 실험(양적), 면접(질적)을 비교하면 실험법은 연구자의 가치를 최대한 배체하고 실험하는 것을 원칙으로 여깁니다. 양적 자료와 질적자료의 개념을 질문자께서 헷갈리시는거 같은데 양이많다고 해서 양적자료가 아니라 자연과학의 연구방법처럼 연구해 얻은 결과를 양적 자료라고 합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19.10.31.

회원로그인

• 딸바보 개발자의 블로그
• 어르신 기념일 계산기
• 글자 수 세기

Copyright © insure-ko.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