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이 하필이면 거문도를 점령한 이유는요? > 쇼핑 Q&A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쇼핑 Q&A

영국이 하필이면 거문도를 점령한 이유는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익명 댓글 2건 조회 933회

본문

영국이 1885년에 전라남도 여수? 아래에 위치한 거문도를 점령했다고 들었는데, 왜 하필 거문도를 점령한 건가요?

남해바다의 섬이라면 거문도 이외에도 제주도도 있고, 거제도도 있고, 부산의 영도도 있는데 왜 하필 거문도 였던거죠?

차라리 고작 그런 작은 섬보단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주도나 거제도나 영도+부산 등을 점령하는게 항구로 쓰기도 좋고, 러시아 남하정책 방어기지로 쓰기에도 더 유리하지 않았을까요?

저는 거문도를 점령할꺼면 고흥반도까지 추가로 점령했다던가, 아니면 제주도 or 거제도 or 영도+부산을 장기간으로 점령해서 한반도의 홍콩처럼 키웠으면 어땠을까 하는 상상을 해봅니다.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상당히 재미있는 질문입니다. 너무 길면 마지막 패러그래프만 읽으세요.





일단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러시아와의 긴장 고조로 1885년 3.28 거문도 출동 준비를 지시하고

4.15에 거문도를 점령한 사실은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또한 중동만의 문제가 아닌 Great Game의 일환으로 세계사적으로 해석되기도 하죠.

하지만 거문도 점령의 지지를 동아시아의 국가들로부터 적극적으로 얻는데 실패해 외교력 약화도 초래하였죠.



왜 하필 거문도냐?

일단 주청 영국공사로 주조선 공사를 겸직한 파크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신정변 발발과 청일 군대 충돌에 관한 내용을 영국 외교부에 보내게 되었는데 이 때 거문도 순찰을 건의합니다.

이것이 실질적인 이유인데 파크스는 왜 그랬을까요?

일단은 영국의 동아시아 정책의 목적과 궁극적으로 맥이 닿아있습니다. 결국 상업 이익의 극대화가 목적이죠.

그래서 동아시아 갈등을 구실로 러시아 개입 상황을 막고자하였습니다.

결국 갑신정변이라는 사태는 영국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러시아의 개입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사건으로 본거죠.



영국의 외교문서를 보았을 때 조선의 거중조정 요청에 관한 항목이 있습니다.

한성조약 체결 후  파크스는 영국이 청과 일본을 거중조정하고 있다는 내용을

조선 정부에 알리라고 영사 애스턴에게 지시합니다.

즉 영국은 청일교섭을 중재하는 과정을 조선에 알림으로 조선 문제에 간섭하겠단 입장을 밝힌거죠.

파크스는 갑신정변 직후 청과 일본을 중재합니다. 목표는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조선을 둘러싼 정세 안정입니다.

하지만 이 러시아가 결국 개입을 하게 되죠.

일본이 청일 양 군을 다 철수하자 하였으나 청은 이에 반대를 합니다.

청의 군대 주둔이 속방의 왕인 고종의 요청에 의한 조치라는 것이지요.

이에 파크스는 한 마디 합니다.

 "2년간 조선에 주둔하고도 갑신정변등으로 조선의 질서 유지에 실패~~~ 결국 청 일 니들 다 꺼져"

결국 청일 군사교관의 배제를 주장하며 일본 측 협상안을 지지합니다.

뭐 사실 양국 동시 철수 주장의 이유는 조선에서 이를 제어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죠.

파크스의 관심은 일단 조선 정부의 재정이 곤란하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내정개혁이 시급하다 판단.

"조성 정부의 무정부상태나 대외침략의 희생양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개혁이 필요하다" 입장을 밝힙니다.

이 말은 결국 갑신정변 이후 청일 갈등이 러시아의 개입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위해 나온 것이지요.

파크스는 1885년에 베이징에서 사망하였으나 그의 외교적 중재는 텐진조약으로 결실을 맺습니다.

청과 일은 청일의 군대 철수, 서구 군사 교관의 조선파견을 내용으로하는 조약에 합의합니다.

이때까지는 파크스의 구상이 실현될듯 보였으나 또 다른 갈등이 잉태되었습니다.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해버린 것입니다.



갑신정변이 서울에서 발생한 사건이기에 모든 이목이 서울에 집중되어있습니다.

그러기에 영국,미국,독일 함대도 서울에서 가까운 제물포로 출동하였습니다.

그런데 영국 해군부는 거문도에도 보냅니다. 왜? 동아시아에서 가용한 해군력을 분산시켰을까요?

그 해답은 파크스의 전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파크스의 전문 말미에 "거문도를 경계하는 것이 바람직할지도 모른다고 또 다시 제안하는 바입니다"라 써있습니다.

거문도에 대한 경계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를 별도로 보고하지는 않았는데요. 우리는 그 전문에서 "또 다시"라는 표현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파크스가 1875년에 거문도 점령을 건의한 바가 있습니다. 그가 점령을 건의한 이유는 조선과 일본의 갈등 고조에 따른 일본과 러시아의 조선 공동 침략설에 대응하기 위함이었죠.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하면 러시아의 조선 진출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갑신정변의 상황이나 10년전의 상황이나 파크스의 입장에서는 같아보였지요.

청일 군대의 충돌이 러시아 개입을 부추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러시아 진출의 사전 차단을 위한 방안으로 거문도 순찰을 제안하였었죠.

결국 영국의 입장에서는 파크스의 보고를 토대로 멀린호를 거문도로 배치하게 된 것입니다.



12.19 상해를 출발했던 멀린호가 26일에 귀한합니다. 상해에서 거문도까지 만 하루가 안걸리기에

조사기간은 대략 5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멀린호 함장 브렌톤중위가 해군분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조사한 내용을 좀 보겠습니다.

1, 동아시아에서 서구 열강의 전략적 요충지

2. 각종 위험으로부터 선박을 보호할 수 있는 뛰어난 입지조건

3. 바엉와 요새화가 쉽다는  측면.

4.거문도의 수로 현황

거문도의 전략적 가치가 중요하다 판단하였습니다. 물론 브렌톤의 조사내용이 새롭지는 않았지요.

1882년 조영조약 체결 당시 영국 전권대신이었던 윌레스가 거문도를 영국 군함의 정박지로 지정한다는 내용을

조약에 넣고자 한 시도 자체가 이미 전략적 가치를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브렌톤은 거문도의 전략적 가치만 주목한 것이 아닙니다.

거문도에 조선군이 주둔하지 않다는 사실, 주민들이 비폭력적이며 무장을 하지 않고있으며, 거문도 정박시 어떠한

적대행위도 없다는 점을 밝혔지요. 즉 무혈입성이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멀린호 선원은 거문도에서 주민들과 접촉을 합니다. 경계는 하였지만 배척하지는 않았죠. 거문도 주민들과의 대면조사도 필담을 통해 이뤄졌구요. 결국 거문도 조사를 통해 해군부가 얻고자 하는 바는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점령 이후의 거문도의 실질적 지배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판단됩니다. 브렌톤은 거문도 주민들이 유럽 국가의 통치에 순응할 것으로 보았다 하였고 새로운 협력관계 구축여부를 확인하였던 것입니다.

그밖에도 위생, 전염병 실태 조사도 하였고 풍부한 식수와 어획량, '영국 남부보다 춥지않다'는 정보 역시 영국의

거문도 주둔을 염두에 두고 실시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이상을 통해 브렌톤이 거문도 조사를 통해 점령에 장애요소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기에 거문도 점령이 이루어진 것이지요.

이제는 명분만 필요하였고 러시아가 갑신정변의 혼란을 틈타 조선 문제에 개입한다는 정황 내지는 움직임만 찾아내면 거문도 점령의 당위성을 주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여기까지가 대충의 배경지식입니다. 그러면 다이렉트로 질문자님의 질문에 답을 해보도록 하지요.



 당연히 청에 대부분의 병력이 있고 제물포가 다른 열강에 의해 마음대로 사용이 불가하다면 제 2의 장소를  찾아야겠죠. 제주도나 거제도, 영도등 비교적 큰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선 또한 어마어마한 인적 물적 소요가 들게 되고 그런 상황은 아마 힘들었을 것입니다. 대영제국은 결국 한반도의 직접 점령을 원하지 않았고 유사시에 동아시아의 소요사태가 일어났을 경우 중재할 수 있는 국가로서의 지위를 원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문제풀이           지식iN 교육기부 참여로 작성된 답변입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4.03.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군의

규모가 작다보니 큰 항구가 필요없었습니다.

그리고 의도 자체가 본격적 정복에 목적이 있는게 아니라 간보기?에 있었기  때문에 제주도나 부산 같은 곳을 점령하기는 무리였습니다.

​                                                                                                    # 문제풀이           지식iN 교육기부 참여로 작성된 답변입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4.03.

회원로그인

• 딸바보 개발자의 블로그
• 어르신 기념일 계산기
• 글자 수 세기

Copyright © insure-ko.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