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보험 명의 변경가능 한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익명 댓글 5건 조회 850회본문
그동안 자동이체로만 해놓고 신경을 쓰지 않았고 10년 납인데 5년을 납입했습니다.
상품명이 이제와서 보니 행복열매NH연금보험(무배당)였습ㄴ다.
연금보험이라는 말에,,헐...
그것도 80세 개시..TT
어짜피 5년을 납입했으니 유지하는게 나은건지(현재 해지환급금 적립금의 91%)
현재 남편과 제가 연금보험이 있기는 하나 부족한거 같아
차라리 명의 변경을 하는것은 어떨지...
고민이 많습니다.
시원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쉬운 보험을 가입시켜드리고자 하는 "쉬운보험"입니다..
보험은 주계약과 특약이 구성하고 있는 담보로 보험료를 구성하는데요
이미 가입하신 보험에 좋은 담보가 있다면 추가가입이 아니라
어떤 담보들이 있는지 정확히 상담을 진행해주는
보험설계사를 만나시는게 중요합니다.
연금은 크게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이 있습니다,
현재 국민연금의 지급시기도 늦춰지고
지급여력이 논란이 되면서 정부는
개인연금을 활성화 시키기위해서
연금보험료에 대해서 세제혜택을 주고있는데요
.연금보험은 세제비적격연근이라고 불리는데요
보험료를 납입하는 동안 세제혜택이 없는 대신
10년동안이상 유지시 보험차익에 대한 이자소득세
15.4%를 면제받으실수 있습니다.
연금종류도 많고 어떤 상품을 가입하느냐에 따라
월 수령액이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고 전보험사 비교후에 가입하셔야 하는 상품입니다.
반면 가입하신 상품이 문제가 있다면
계속 유지하시는 것 보다 좀 더 보장이 좋고
가입자가 유리한쪽으로 전 보험사 비교해보셔야 하는데요.
권유가 아닌 가입자가 객관적으로 선택하셔야
나중에 다시 증권을 확인해 보실때는 지식인이 아닌 보험사 보험금 청구시여야 합니다.
누구나 설계 가능하고 누구나 보장담보에 대해서 설명은 가능하지만
보험은 보험 청구시 보장을 얼마만큼 받을수 있는지
정확하게 안내해줄 설계사를 만나셔야 합니다.
이상,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으며
추가적인 보험관련 문의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아래의 하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상담신청이 가능합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2.16.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연금보험은 대표적인 저축성보험입니다
무엇이 무엇인가요?
연금저축을 원하셨었나요?
글쎄요 개인적으로 연금저축을 별로 안좋아하는 편이기는 합니다
개시시점은 처음에 80세로 설정을 햇지만
조정이 가능합니다
계약자변경은 가능하지만 피보험자변경은 안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상황같습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2.17.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보험에는 명의라는 말을 쓰지 않습니다.
계약자 / 피보험자 / 수익자라고 합니다.
피보험자는 변경이 불가하고
계약자와 수익자만 변경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연금보험의 연금 개시는 가입시 임의로 정하는 것으로
연금 개시 전에는 언제든지 연금 개시 시점을 변경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명의 변경이 아닌 계약자를 변경하신다는 것인지 수익자를 변경하신다는 것인지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고 변경을 진행하세요.
그리고 변경하시는 김에 연금 개시 시점도 원하시는 시점으로 바꿔놓으시기 바랍니다.
(5년차 91%면 나쁘진 않습니다. 잘 유지하시고 차라리 필요할 때마다 중도인출로 활용하세요.)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2.17.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보험으로 저축 및 연금 준비...
비효율적인 시대죠
이유는
1. 높은 사업비 : 10~15%의 사업비
2. 낮은 최저보증이율 : 5년전이니 그나마 2%가량 될겁니다
그러나 평균 물가상승률이 3% 이상인데
이런 사업비에 이런 최저보증이율로
과연 노후준비가 적절할까요.
저는 보험으로 그닥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해당자금은 빼셔서
중장기 투자를 하셔야지요
그리고 자녀에게 저축해주시는 것은
신중해야합니다.
미성년 자녀에게 저축시 10년간 2000만원까지만 세금이 없고
그 이상자금은 세금이 부과되며
성년이면 5000만원까지만 세금이 없습니다.
이점 인지하셔야합니다
아무쪼록
적절한 노후준비와 자녀 저축을 하고자 하신다면
문의주십시오
보험을 권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플러스 친구 등록후
질문남겨주세요
⭐ 카카오플러스 친구등록
http://pf.kakao.com/_dsgxjj
⭐ 장선생의 더바른경제 블로그
https://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jdw6173
⭐ 금융 유튜버
https://www.youtube.com/channel/UCnES_ZMjTok5ynaDezXRfxw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2.17.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명의라는 것이 1개가 아닌 것이 보험입니다.
그렇기에 현재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우선 확인하세요.
계약자, 피보험자를 우선적으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수익자는 현재 상황에서 딱히 중요한 사항이 아님)
다만 상품이 이래나 저래나 좋은 상품이 아니기에 아예 재정비를 하시는 쪽을 추천드립니다.....
https://open.kakao.com/o/si1NwG0 같이 만드는 가치
#재무설계 #돈관리 #인생설계 #저축 #연금 #노후준비 #사회초년생 #돈 #상담 #20 #30 #증여 #투자 #재무 #세금 #목돈만들기 #상속
open.kakao.com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