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고2 3월 모의고사 국어 36번 질문입니다. 36번 답은 일단 3번이구요 왜 3번인지는 알겠습니다. 콜라보 기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익명 댓글 1건 조회 847회본문
36번 답은 일단 3번이구요 왜 3번인지는 알겠습니다. 콜라보 기법에 3차원적 입체성을 결부시킨다는거 자체가 말이 안되니깐요.
4번이 왜 맞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요. 앞서 글 문단에서, 출제자는 아상블라주를 '콜라주의 평면적인 조형성을 넘어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들과 폐품 등을 혼합하여 3차원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제가 주장하고 싶은건, 판넬 위에 염소를 세워놓은 것은 3차원적으로 표현한 건 맞지만,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물건들과 폐품들을 조합한건 아니라는겁니다.
OR의 개념으로 보기엔, 즉, '3차원이라는 개념에 부합하므로 아상블라주 기법을 사용했다고 할 수 있다' 라고 하기엔 아상블라주의 정의 부분에서 저렇게 명확하게 '우리 주변에서~혼합하여' 부분을 써놓으면 안된다는 거죠.
제가 생각하고 있는 이 문제의 문제점을 해결해주실분 있나요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콜라주는 이질적인 여러 소재들을 혼합하여 일상성에서 탈피한 미감을 주는 기법이고, 아상블라주는 콜라주의 평면적인 조형성을 넘어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들과 폐품 등을 혼합하여 3차원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이다. 콜라주와 아상블라주는 현대의 여러 예술 사조에서 활용되는 기법을 차용한 것으로, 섬유 예술에서는 순수 조형미를 드러내거나 현대 사회의 복합성과 인류 문명의 한 단면을 상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보기>이 작품은 라우센버그가 창작한 「 모노그램 」이다. 라우센 버그는 나무 판넬에 물감을 칠하고 나무 조각이나 신발 굽 등 버려진 물건들을 부착하였다. 그리고 그 위에 털이 풍성한 박제 염소를 놓고 그 염소의 허리에 현대 문명을 상징하는 타이어를 끼워 놓았다. 이 작품을 통해 생명체가 산업화로 인해 위협 받고 있는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질문자님께서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들과 폐품들을 조합하여"를 통해 염소박제가 이에 해당하지 않음을 지적하셨는데요. 우선적으로, 염소박제, 동물박제는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물건이지만 사냥이 허용된 외국에서는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에 속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4번 보기를 보시면,"주제 의식을 드러내기 위해 판넬 위에 염소를 세워 놓은 것에서 아상블라주 기법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군.", 주목해야 하는 것은 "주제 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기법입니다. 
우선 지문과 보기에서 표기된 부분을 보시면, "현대 사회의 복합성과 인류 문명의 한 단면을 상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된 것이 아상블라주입니다. 즉, 아상블라주는 순수 조형미 뿐만이 아니라 작가가 현대사회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한 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그리고 보기에서도 "생명체가 산업화로 위협 받고 있는 모습"을 아상블라주를 통해 표현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즉,  염소박제, 나무 조각, 신발 굽, 타이어 등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 혹은 폐품을 사용한 "아상블라주 기법"을 활용하여  "생명체가 산업화로 위협 받고 있는 모습"이라는 주제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문제풀이 지식iN 교육기부 참여로 작성된 답변입니다.
2019.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