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발목주위 통증에 대한 조언구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익명 댓글 1건 조회 642회본문
  저는 65세 남성입니다 ---- 2019년 3월초  종아리 뒤 통증으로  3월말 MRI 찍어본후
   의사님으로부터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 ( M 4806 )  으로 진단을 받았습니다   ..
이후 1) 4월초 주사치료 2회 ( 좌측 허리 및 엉덩이가 묵직한 통증 - 발바닥 저림 증상 -
        특히  발목 주위 통증으로   걷기가  불편합니다   ) , 
        2)  6월 1일  신경성형술 1회를 하였으며  약물치료와  보존적 치료를 받고 있는중입니다
        3)  우측 다리는 현재 이상 없읍니다
--특히   좌측 발목 주위 통증( 땡김증상 , 싸늘한 증상 ) 으로 생활에 많이 불편합니다  
             앞으로 치료 방법을  조언하여 주시기 바람니다 --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김재호 입니다.
65세 남성, 2019년3월부터 종아리 통증 MRI 시행, 퇴행성 협착증 진단받으셨네요.
다음은 제가 협착증만 있는 분들에게 알려드리는 일반적인 내용이니 참고만 하십시오.
전체 요통환자의 3~4%가 척추관협착증으로 진단받습니다.
1. 10%정도는 선천성인 경우로, 30대 초중반부터 흔히 디스크 증상과 함께, 협착증 증상이 나타나고요.
2. 대개는 후천성, 즉 퇴행성인 경우가 많죠.
퇴행성이 주된 원인으로 즉, 척추관 주변조직이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최근에는 척추에 무리를 주는 습관 때문에 보다 젊은층에서도 나타납니다.
누워있거나 서있을때보다 앉아있을때 상체의 모든 무게가 허리근육, 디스크, 관절에 실리는데
운동부족으로 허리근육은 조금씩 약해지고, 상체비만이 있거나,
앉아있는 (앉아서 앞으로 구부러지면 훨씬 더) 자세만으로도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협착증에 좋은 운동이 인터넷에 많이 있지만,
질문자님의 근력이나 관절 등 신체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가장 문제가 되는 것부터 재활 운동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순수한 척추협착증 환자의 재활훈련은
척추 안정화, 골반 전방경사를 감소, 둔부와 복부 근력 증가, 요추 신전근의 신장 운동과 함께
일상생활 중에서 굴곡경향의 골반 안정화 훈련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런데, 디스크나, 척추분리증, 척추전방전위증 등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척추/골반의 바른 정렬과 전후,좌우 대칭이 어긋난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디스크-근육힘줄-관절인대 이렇게 함께 치료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안정, 일시적인 보조기(복대 등), 진통소염제/근이완제 등의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등이 있고요.
다음으로 디스크로 인해 염증이 심하면 맞는 주사나, 인대강화주사가 있습니다.
그렇게 해도 호전이 없는 경우는 신경풍선확장술이나 수술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무거운 것을 나르거나 허리를 많이 움직이는 동작은 척추에 무리가 가고, 과체중이면 그만큼 부하가 되므로 피하는 것이 좋고,
과격한 운동보다는 수영, 걷기, 실내 자전거 등을 추천하고요.
갑자기 서거나 앉는 것보다 천천히 부드럽게 움직이시고, 일어날 때도 코어근육에 힘을 주고 옆으로 일어나는 게 좋습니다.
우선 체중조절과 바른자세 유지, 부담없는 운동부터 하십시오.
그리고 물리치료, 약물치료도 받으세요.
참고로 협착증 환자의 15%가 호전되고, 70%는 증상 변화 없고, 15%는 악화됩니다.
상태 악화시나, 더 자세한 치료는 척추협착증 진단받은 척추전문 병의원 담당전문의에게 문의하시는 게 바람직합니다.
마지막으로 지금 제일 불편한 좌측 발목 주위 통증( 땡김증상 , 싸늘한 증상)은
협착증일때도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다른 원인일 때도 가능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것은 가까운 재활의학과 진료보시고 상담받으시고
인터넷은 참고만 하세요.
김재호 재활의학과 전문의 서울에스재활의학과의원 02-2138-3778 학력/자격 : 재활의학과전문의 (2007.3.)
전공 : 근골격계질환 재활, 말초질환 및 외상으로 인한 운동기능장애,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소아재활 예약 홈페이지 위치 알아두세요! 1.질문자의 정보 참조 용도로 활용 가능하며, 정확한 개인 증상 파악은 의료 기관 내방을 통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2.상담의사의 최종적인 의학적 소견을 나타낸 것이 아니며, 답변을 제공한 개인 및 사업자의 법률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3.시의적, 물리적 환경에 따라 변경된 의학적 이견을 가질 수 있으며, 의학적 소견이 상이한 여러 의견을 모두 수렴하지는 않습니다.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로 감사할 때 참고해주세요.
2019.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