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엔진파손 카젠과 롯데손해보험의 오일쿠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익명 댓글 4건 조회 132회본문
댓글목록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캡쳐 화면 안보이는데요 ,,, 거기서 4리터 넣은게 확실하시면 증거는 충분한데요 .... 결함이라 ... 미친...지잘못을 인정할줄모르면서 뭔 정비를 할려고 하는지 .... 문제 생겨 버리면 결함쳇.... 씁쓸합니다...그럼 어떤게 결함이기에 이렇게 되나요 하고 한번 반문해 보시지 .... 그럼 암소리도 못할텐데 ....오일제대로 갈면 무쏘스포츠 울아버지차도 9리터에서 좀더 들어가는데 ... 당연히 고속에서는 문제 되는건데 ... 증빙자료가 최우선이겠네요 .... 그리고 보험사나 어디서 주는쿠폰이나 다 기준이 4리터 기준으로 되어있어서 추가분은 돈이 더 들어가니 미리 말을해 주는데 .... 아무래도 착각을하고 4리터만 넣은듯하네요 ... 2008.12.17.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11월4일 엔진오일교환 4리터.▣11월27일 태안에서 울산까지 주행후 심한매연과 더블어 소음발생[깔깔깔]▣당일 울산정비공장에서 점검결과 부란자 이상으로 진단후 임시조치후 주행▣태안으로 향하던중 엔진멈춤▣가까운 쌍용서비스센타입고 헤드가스켓문제 진단▣신뢰도 때문에 1급서비스센타로 재입고후 연료문제로 진단받음▣서비스기간이 지나서 a/s불가 통보받고 삼성서비스로 재입고후 5번피스톤 파손과 실린더 스크래치 확인후 엔진오일 부족으로 고장유발이 될수있다라는 판정후 쌍용서비스 재입고하여 동일한 진단을 받음.▣이후 오일을 교환한 업체에서는 차체결함을 주장함. 대략적으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면 이렇습니다.먼저 매연이 심하게 나왔다면 매연의 색상이 의심됩니다.검은색 매연인지 아니면 청색의 흰색 매연이 발생 되었는지가 궁굼 합니다.울산의 정비공장 부란자문제로 진단. 1차쌍용서비스 헤드가스켓진단. 2차쌍용서비스 연료문제로 진단등으로 생각을 해본다면 분명 매연의 색상은 청색 계통의 흰색이 발생 된것으로 판단이 됩니다.청색의 흰색매연이 발생되는 조건은.1)노즐불량으로 인한 연료희박공급[부란자 압력이 낮을때]2)연소실에 부동액이 유입될때.3)연소실에 엔진오일이 유입될때.3번의 연소실에 엔진오일이 유입될때는 매연이 발생되고 엔진오일이 거의 소진시 딱딱딱 하는 소음이 발생됩니다.1번과 2번의 경우는 매연이 발생되는 순간부터 깔깔깔 하는 소음이 발생됩니다.엔진 소음이 어느 유형이였는지가 중요하며 그림으로 판단을 할때 피스톤 상부가 녹아서 파손이 된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연소실 온도가 높을때[연료희박분사] 또는 냉각수가 유입이 되었을때 발생 됩니다.쌍용차동차의 엔진의 특성은 1번실린더 가스켓에 문제가 발생되면 냉각수와 엔진오일이 실린더로 유입이 됩니다.삼성서비스에서 엔진오일 문제를 거론했고 재입고한 쌍용서비스에서도 엔진오일 부족으로 그러한 고장이 발생될수 있다라는 결론이 내려진 이상 엔진오일을 교환한 업소와의 싸움이 되겠지만 엔진오일을 4리터만 주입을 했다면 이미 매연이 발생되기전 엔진소음[딱딱딱]이 발생되었어야 옳은것으로 생각을 합니다.실린더벽에 발생되어 있는 스크래치는 엔진오일 부족시와 엔진의열이 높을때 발생될수 있는 스크래치며 결국은 국과수까지 동원이 되는 정밀검사가 있어야 가해자 피해자가 가려지는 상황 까지도 염두해두어야 할것 같습니다.좋은결과가 있으시길 기원 합니다. 2008.12.17.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상태를 보니 열을 제어하지못한거 같네요 (엔진오일이나 냉각수) 후륜구동방식의 엔진은세로로 되있죠 이때 가장 뒤의실린더가 평소에두 열에좀 취약함니다 워터펌프앞에있죠 휀두앞에잇죠..피스톤투 붙은쪽이 핀보스 직각방향이구요 보통차같으면 벌써 이상이 왓겠지만 5기통에 힘이좋아서 좀 더다닌신거 같네요 2008.12.18.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익명 작성일엔진오일을 4리터만 넣었다는 것이 이해가 힘드네요TT근데 제가 알기로는 4리터만 넣을 경우 오래 운행을 할수가 없지 않나요?그리고 제 차의 경우를 보면 엔진오일이 부족하거나 이상이 생기면 계기판에 이상등이 들어오는 걸로 아는데요~그런 이상징후는 있었는지 모르겠네요아무튼 사진만 봤을 경우에는 엔진이 과열되면서 실린더에 이상이 생긴 것 같은데 엔진과열의 원인은 다양하기때문에 고민되겠네요보통 냉각장치가 제 역활을 못하는 경우가 많으니 냉각장치 부분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2008.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