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분들 PER 관련 몇가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b6wEB977 댓글 0건 조회 216회본문
처음 주식 시작할때 아마 젤 많이 보시는 것들이 PER / PBR 일텐데, 심심해서 관련해서 몇가지...
뭐 PER이 너무 높다 이런말들이 가끔 있는데, 사실 우리가 보는 지표들은 대부분 금리를 고려해야 함 (실업률 이런거 빼면 사실상 100%로)
PER, PBR 만으로 결정되던 것은 그레이엄 할아버지 때나 통하는 얘기고
모든 상품의 가격은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 가치이고, 금리가 내려가면 이는 당연히 상대적으로 올라갈 수 밖에 없음
비슷하게, 요즘 성장주로 돈이 몰리고 있는 이유도 미래의 현금흐름가치가 덜 할인되기 때문인 것도 있음
약간 성장주가 승자독식 같은 무형 자산들이 포함되어서 더 덩치가 커보이는 것도 있고
다른 관점에서는 리스크 프리미엄으로 설명할 수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주식의 리스크 프리미엄은 주식 수익률에서 3년물 금리를 뺌.
주식 수익률은 1/PER인데, 3년물 수익률이 낮아지면 리스크 프리미엄이 동일하다면 주식 수익률이 그만큼 낮아지고, 따라서 PER은 올라가야함.
레이 달리오는 뭐 유동성 때문에 리스크 프리미엄 자체가 낮아졌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어쨌건 결과는 비슷하니깐 요기서부터는 설명하기 나름일듯
참고로 현재 코스닥의 리스크 프리미엄은 2015년 정도와 비슷함. 고점이긴 한데 상승 여력이 없지는 않은 상황?
뭔가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는데,
결론적으로는 PER이 역사적으로 높다낮다 이런말을 듣고 막 팔거나 사지마시고, 항상 금리를 생각하세요.
그리고 요즘 공매도 금지 때문인지 코로나 때문인지 주식 처음 시작하는 불나방 분들이 많이 보이는데, 너무 주식만 하지말고 전체적인 자산배분 관점에서 투자를 하시면 좋습니다.
귀찮더라도 채권이던, 금이던, 자산배분 쪽을 공부하시고... 부동산도 꼭 뭐 건물을 산다 이런거 아니라도 리츠류를 통해서 투자할 수도 있음.
투자는 잃지 않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항상 헷징을 생각하고 우상향하는 자산들을 보유하세요
정보공유로 분류했는데 제대로 된 글은 거의 첨 쓰는 거라 맞나 모르겠네요ㅋㅋㅋ
요약
1. PER, PBR 등 지표 고려시 항상 금리 생각
2. 자산배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